카테고리 없음

정책 범죄 - 우생학 Eugenics (2)

윤변TV 2023. 2. 8. 12:23

버지니아주 의회는 2002년 벅 할머니에 대한 잘못을 뒤늦게 나마 시인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4년뒤인 2006년에는 주 상원에 벅 할머니 성폭행범에 대해 거세형을 가하도록 하는 법안을 제출하면서 과오를 인정했지만 벅 할머니는 통한을 안고 이미 훨씬 전에 세상을 떠난 뒤였다.

 

In 2002, the Virginia state legislature passed a resolution that belatedly admits wrongdoing to Buck.  In 2006, four years later, the state admitted its mistake by submitting a bill to the State Senate to castrate the rapist of Buck, but the grandmother had already passed away long ago in pain.

 

 

******************** 다음호에 계속

우생학적인 사고방식을 어떤 학자는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이라고도 부르는 이유 때문에 우생학이 일반적으로 진화론에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착각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다윈의 저서들에선 우생학에 관련한 어떠한 언급도 없을 뿐만 아니라 다윈의 사고 방식으로 도저히 용납이 되지 않는 학설이라서 다윈 스스로 우생학에 대하여 크게 반발했다는 기록이 있다.

It is known that eugenics was influenced by evolutionary theory in general for the reason that some scholars call it Social Darwinism, but this is an illusion.  Because there is no mention of eugenics in Darwin's writings, and there are records that Darwin himself strongly opposed eugenics because it was a doctrine that could not be tolerated in Darwin's way of thinking.

 

미국의 근본주의 개신교인들은 위와 같이 진화론 자체가 우생학과 관련 있다는 점을 꼬투리잡아 진화론 자체를 부정하거나 진화론 교육을 금지시키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사실 이들 근본주의 개신교도들도 함의 후손은 저주받았으니 차별 당해 마땅하고 자신들은 태어날 때 부터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우월한 인종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Fundamentalist Protestants in the United States have taken the fact that the theory of evolution itself is related to eugenics as mentioned above, and in some cases passed a bill to deny the theory of evolution itself or to ban education on the theory of evolution.  In fact, these fundamentalist Protestants also believe that Ham's descendants deserve to be discriminated against because they are cursed, but they themselves have the idea that they are a superior race chosen by God from birth.

 

19세기 당시 전 인류에게 퍼진 우생학정책 열풍은 호주도 예외가 아니어서 1910년부터 1970년까지 호주 정부는 원주민이 호주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동화정책을 써 왔다.  이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호주 정부는 수많은 호주 원주민의 자녀들을 강제로 부모와 격리시켜 호주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시켰다.  이것을 호주 역사에서 빼앗긴 세대 (the Stolen Generation)라고 부른다.

Australia was no exception to the eugenics policy craze that spread to all mankind at the time of the 19th century.  From 1910 to 1970, the Australian government implemented an assimilation policy that allowed Indigenous peoples to adapt well to Australian society.  As part of this assimilation policy,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forcibly isolated many Aboriginal children from their parents and trained them to adapt to Australian society.  This is called the Stolen Generation in Australian history.

 

이 동화정책은 백인은 우월하고 흑인은 열등하다는 논리를 기반으로 원주민들은 자연 도태되어 멸종되거나 아니면 백인 사회에 동화되도록 한다는 정책이었다. 부모로부터 격리된 원주민 아이들은 부모의 문화와 관습을 버리고, 백인문화에 적응되도록 교육받았다.  그 결과 그들은 조선인 창씨 개명과 같이 부모가 지어준 자기 이름을 개명 하여야 되었고 자신들의 원주민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일부는 백인 가정에 입양이 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은 시설에 보내어져서 방치되거나 학대 당하는 것이 예사였다.

This assimilation policy was based on the logic that whites were superior and blacks were inferior, and natives were either culled or extinct or assimilated into white society.  Indigenous children isolated from their parents were educated to abandon their parents' culture and customs and to adapt to the white culture.  As a result, they had to change their parents' names, as in the Korean Name-Changing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y, and were forbidden to speak their native language.  Some were adopted by white families, but most were sent to institutions where they were neglected or abused.

 

이에 대하여 호주 정부는 1995년도에 이 아동분리정책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였고, 조사결과 약 10-33%의 원주민 자녀들이 부모와 강제로 분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당시의 사회정서와 가치관을 반영하더라도 이것은 기본적인 인권 탄압 정책이었다고 하였다. 그 이후 케빈 러드 수상이 집권하던 2008 2월에 호주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에 사과를 하였다.

In response, the Australian government started an investigation into this child segregation policy in 1995.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about 10-33% of Aboriginal children were forcibly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Even reflecting the social sentiments and values ​​of the time, it was declared that this was a basic human rights suppression policy.

 

일본도 고이즈미 수상이 집권할 당시인 2001년경 전 한센병 환자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과거 한센병 환자들을 강제 격리시키는 일본정부의 정책은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한다고 소송을 제기하여 1심에서 승소하자 고이즈미 수상은 항소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일본정부는 정식으로 이들에게 사과를 했다.

Around 2001, when Prime Minister Koizumi of Japan came to power, former Hansen's disease patients filed a lawsuit against the Japanese government, claiming that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of forcibly isolating past leprosy patients violated basic human rights.  After they won at the first court, Prime Minister Koizumi announced that he would not appeal, and the Japanese government formally apologized to them.

 

하지만 한국의 경우 과거 강제 단종.낙태 피해를 입은 일부 한센병 환자들이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1심에서 국가 배상을 인정하는 원고 승소판결을 받았으나 대한민국정부는 이들이 자진 단종.낙태를 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항소하였다고 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some leprosy patients who suffered from forced sterilization or abortion in the past filed a lawsuit against the state and received a judgment in favor of the plaintiff acknowledging the state compensation in the first instance.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appealed, claiming that they had been voluntarily sterilized or had an abortion.

 

필자의 개인적 생각은 과거 강제 단종.낙태 정책을 펼친 정부가 바로 박근혜 대통령의 아버지인 박정희 정권시절의 일이었기 때문에 정치적 영향이 더 크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든다.

My personal opinion is, because the government that implemented the policy of forced sterilization and abortion in the past was during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 father of President Park Geun-hye, I have a feeling it might have a bigger political impact.

 

흥미로운 사실은 한국의 모자보건법에 우생학법이 아직도 일부 남아 있다는 사실이다. 

An interesting fact is that some eugenics laws still exist in Korea's maternal and child health laws.

 

모자보건법 제14(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

① 의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본인과 배우자(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사람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동의를 받아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할 수 있다.

1.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우생학적(優生學的)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이 있는 경우 . . .

 

Maternal and Child Health Act Article 14 (Limits Allowed for Artificial Abortion Surgery)

     A doctor may use currettage with the consent of the person and her spouse (including those who are in a de facto marital relationship; hereinafter the same shall apply) only in cases falling under any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1.  When the person or his/her spouse has a eugenic or genetic mental disorder or physical diseas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 . .

 

그러므로 현행 한국법은 우생학적 이유가 있다면 낙태를 법으로 허용한다는 것이다.  호주의 경우는 각 주에 따라 임신 16-24주이전에는 낙태가 가능하다.  그 이후는 두명의 의사가 여성의 현재와 미래의 신체상태, 정신상태, 사회상황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Therefore, the current Korean law permits abortion if there is an eugenic reason.  In case of Australia, abortions are made available on request during the first 16-24 weeks of gestation according to each states and territories. After that time, two doctors must agree that it is appropriate, based on the woman's current and futur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ircumstances